張萬玉 2007. 12. 19. 17:14

인터넷 뒤져서 대통령선거 연보를 한번 찾아봤습니다. 한 줄 한 줄이 완전히 블랙코미디군요.

그래도 위안이 되는 것은 현재와 가까워지면서 조금 모양새가 점잖아졌다는 것인데

누가 알아요, 개도 갓쓰면 멍서방이고 돈도 갓쓰면 돈통령이니..... 

(아유, 그래도 눈씻고 희망을 찾아봐야겠죠? ㅜ.ㅜ)  

 

 ------------------------------------------------

 

1대 대통령선거 1948.7.20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이승만

주요내용 :

대통령 선거의 국회간선제, 1차중임, 임기4년의 내용을 담은 초대헌법이 제정되어 제헌국회에서 간선으로 대통령을 선출

선거결과 : 180표를 얻은 이승만이 13표 획득에 그친 김구를 압도적 표차로 누르고 당선

출마후보 : 1. 이승만(대촉국), 2. 김구(무소속), 3. 안재홍(무소속)

 

2대 대통령선거 1952.8.5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88.1%)

당 선 자 : 이승만

주요내용 : 이승만 대통령이 직선제 개헌안을 심야에 날치기 통과.

선거결과 : 74.6%의 득표율로 이승만, 재선에 성공.

출마후보 : 1. 조봉암(무소속), 2. 이승만(자유당), 3. 이시영(무소속), 4. 신흥우(무소속)

 

3대 대통령선거 1956.5.15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94.4%)

당 선 자 : 이승만

주요내용 : 1954년 이승만은 대통령의 연임제한을 철폐하는 4사5입 개헌 강행

선거결과 : 이승만이 70%, 조봉암이30%의 득표율을 얻어 이승만이 장기집권에 성공.

출마후보 : 1. 조봉암(무소속), 2. 신익희(민주당), 3. 이승만(자유당)

 

4대 대통령선거 1960.8.12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윤보선

주요내용 : 제2공화국 내각책임제 헌법에 따라 민·참의원 합동회의에서 간선제로 실시.

선거결과 : 민주당 구파의 윤보선이 재적의원 263명중 208명의 찬성으로 대통령에 당선.

 

5대 대통령선거 1963.10.15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85.0%)

당 선 자 : 박정희

주요내용 : 쿠데타 세력이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통과시킨 대통령 직선제개헌안을 국민투표에 회부, 찬성률 78.8%로 채택하고 제3공화국을 출범시킨 뒤 선거

선거결과 : 공화당 박정희 46.6%를 득표, 민정당의 윤보선후보 45.1% 득표

출마후보 : 1. 장이석(신흥당), 2. 송요찬(자유민주당), 3. 박정희(민주공화당), 4. 오재영(추풍회), 5. 윤보선(민정당), 6. 허정(국민의당), 7. 변영태(정민회)

 

6대 대통령선거 1967.4.27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83.6%)

당 선 자 : 박정희

선거결과 : 박정희가 51.5%의 득표율을 얻어 40.9%를 얻은 윤보선을 이기고 재선에 성공.

출마후보 : 1. 이세진(정의당), 2. 전진한(한국독립당), 3. 윤보선(신민당), 4. 서민호(대중당), 5. 김준연(민중당), 6. 박정희(민주공화당), 7. 오재영(통한당)

 

7대 대통령선거 1971.10.15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79.8%)

당 선 자 : 박정희

주요내용 : 골자로 3선개헌으로 장기 집권의 토대를 마련.

선거결과 : 박정희 53% 득표, 45.3%의 지지를 받은 김대중 후보를 물리치고 당선됨.

출마후보 : 1. 이세진(정의당), 2. 전진한(한국독립당), 3. 윤보선(신민당), 4. 서민호(대중당), 5. 김준연(민중당), 6. 박정희(민주공화당), 7. 오재영(통한당)

 

8대 대통령선거 1972.12.23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박정희

선거결과 :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유신 헌법을 제정. 99.9%로 당선

출마후보 :

1. 이세진(정의당), 2. 전진한(한국독립당), 3. 윤보선(신민당), 4. 서민호(대중당), 5. 김준연(민중당), 6. 박정희(민주공화당), 7. 오재영(통한당)

 

9대 대통령선거 1978.7.6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박정희

주요내용 : 박정희가 통일주체국민회의의 99.8%의 지지로 당선,

출마후보 : 1. 박정희(민주공화당)

 

10대 대통령선거 1979.12.6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최규하

주요내용 : 10.26사태로 박정희가 사망하여 통일주체국민회의가 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을 10대 대통령으로 선출. 그러나 6일 후 전두환 등 신군부에 의한 12.12 쿠데타 일어남.

출마후보 : 기호1 최규하(무소속)

 

11대 대통령선거 1980.8.27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전두환

주요내용 : 전두환 국보위 상임위원장이 통일주체국민회의 투표를 통해 당선.

출마후보 : 기호1 전두환(민주정의당)

 

12대 대통령선거 1981.2.25

선출방법 : 간선제

당 선 자 : 전두환

주요내용 : 7년 단임과 간선제 선출을 골자로 하는 헌법개정안에 따라 전국 77개 선거구에서 실시된 '대통령선거인단' 투표결과 90.1%의 압도적 지지로 야당후보였던 유치송, 김종철, 김의택 등을 물리치고 당선.

 

13대 대통령선거 1987.12.16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89.2%)

당 선 자 : 노태우

주요내용 : 노태우의 6·29선언으로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로 헌법개정.

선거결과 : 여당의 노태우와 야당의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등이 출마하여 노태우 후보가 36.7%의 지지율로 대통령에 당선. 김영삼 28%, 김대중은 27.1%, 김종필 8.1%.

출마후보 : 1. 노태우(민정당), 2. 김영삼(민주당), 3. 김대중(평민당), 4. 김종필(공화당), 5. 홍숙자(사민당), 6. 김선적(일민당), 7. 신정일(한국당), 8. 백기완(무소속)

 

14대 대통령선거 1992.12.18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81.9%)

당 선 자 : 김영삼

선거결과 : 김영삼 42.0% 김대중 33.8%, 정주영 16.3%, 박찬종 6.4%, 백기완 1%.

출마후보 : 1. 김영삼(민자당), 2. 김대중(민주당), 3. 정주영(국민당), 4. 이종찬(새한국당), 5. 박찬종(신정당), 6. 이병호(정의당), 7. 김옥선(무소속), 8. 백기완(무소속)

 

15대 대통령선거 1997.12.18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80.7%)

당 선 자 : 김대중

선거결과 : 야당이었던 새정치국민회의의 김대중이 40.3%의 지지를 얻어 당선.

이회창 38.7%, 이인제 19.2%, 권영길 1.2%

출마후보 : 1. 이회창(한나라당), 2. 김대중(국민회의), 3. 이인제(국민신당), 4. 권영길(국민승리21), 5. 허경영(공화당), 6. 김한식(바른정치聯), 7. 신정일(한국당)

 

16대 대통령선거 2002.12.19

선출방법 : 직선제(투표율70.8%)

당 선 자 : 노무현

선거결과 : 노무현 48.9% 이회창 46.6%, 권영길 3.9%

출마후보 : 1. 이회창(한나라당), 2. 노무현(민주당), 3. 이한동(하나로연합), 4. 권영길(민주노동당), 5. 김영규(사회당), 6. 김길수(호국당), 7. 장세동(무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