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海往事 어제 겨울비도 축축하게 내려주시고 하니 옛생각이 나서 (한국으로 돌아온 게 어제 같은데... 벌써 '그 시절' 카테고리에 들어갈 추억이 됐군요. 세월 참 빨라요) 상하이의 일상을 더듬어보다가 사진을 몇 개 엮어봤어요. 그때만 해도 필름카메라를 썼고, 아니, 거의 쓰지도 않아 사진도 거의 없더군요. .. 그 시절에(~2011)/上海通信(舊) 2008.12.04
이왕이면.... 가끔 한국인들 사이에 한족들이 한 둘 끼는 경우가 있지요. 이런 경우에 대화는 무슨 언어로 하시나요? 대부분 한국인들끼리는 한국말을 주고받지 않나요? 이럴 경우 가능하면 중국말을 사용하자고 저는 주장합니다. 물론 한국인들끼리 한국말을 사용한다고 욕먹을 일이야 없지만 한번 입장을 바꿔서.. 그 시절에(~2011)/上海通信(舊) 2008.12.03
[스크랩] 상해 전문직 여성들은 모두 백골마녀??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 그리고 삼장법사의 모험을 다룬 서유기. 백골마녀는 서유기에 나오는 요괴 중 하나이지요. 사람들을 속여 낼름 잡아먹는 천년 묵은 요괴랍니다. 이 백골 마녀는 삼장법사 고기(?!)가 맛있다는 소문을 듣고 삼장법사를 납치할려고 3번이나 시도했다가 3번다 손오공한테 두들겨 .. 그 시절에(~2011)/上海通信(舊) 2007.05.16
[스크랩] 상해에서 쓰는 상해 이야기 상해에서 생활한지도 어느덧 4년을 눈앞에 앞두고 있습니다. 상해의 겨울은 마치 장마철과 같은 가을을 지나서야 찾아옵니다. 보름가까이 비가 계속되더니 어제부터 게면서 기온이 뚝 떨어졌습니다. 상해는 중국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중 많은 수가 행선지로 고려하고 있고 중국의 경제적 수도라는 .. 그 시절에(~2011)/上海通信(舊) 2007.02.08
중국사진 몇 장 1 -- 일하는 사람들 모두 안녕하셨죠? 오랫동안 문을 닫아두어 죄송했습니다. 새 글 올릴 여유는 없고... 오셨다 가시는 벗님들의 수고가 마음에 걸려서 잠시 문을 닫아두었는데 그것이 오히려 더 마음에 걸리더군요. 그래서 우좌지간 아무튼 일단 문을 다시 엽니다. 그간 상하이에 한 열흘 다녀왔습니다. 볼일로 좀 바빴.. 그 시절에(~2011)/上海通信(舊) 2006.07.01
大閘將軍 납시오... 橫行公子 납시오 드디어 게 먹는 계절이 돌아왔다. 눈 주변에 검은 털이 듬뿍 나 있어 얼핏 보면 검은 진흙이 두껍게 묻어 있는 것 같고 검은 녹색갑옷을 입은 몸은 굵은 새끼줄에 꽁꽁 묶여 힘이 든지 부글부글 거품을 잔뜩 머금은 채 자기 잡아먹을 사람들을 잔뜩 노려보고 있다. 이것이 시장에 나와 있는 상해명물 大.. 그 시절에(~2011)/上海通信(舊) 2006.06.10
상하이저널 게재기사 상해한인상회에서 발간하는 상하이 저널(주간)에서 저희 회사를 취재하러 왔었는데 지난주 신문에 게재했더군요. 우리의 7년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기사라서... 퍼왔습니다. 10년 시장조사를 토대로, 위기를 기회로 바꾼 성공 중소 기업 대주전자재료는 81년 한국에 본사를 설립한 이후 중국에 진출의 .. 그 시절에(~2011)/上海通信(舊) 2006.06.10
급변하는 상하이 한인사회(펌) 상하이 상주인구 5만… 5년內 20만 예상 --「이민 공동체」로 質的 변화 李東赫 朝鮮日報 국제부 기자 (dong@chosun.com) 2년 만에 상주인구 3만1000명 증가 중국 上海(상하이) 서남부의 신개발 지역인 龍柏(롱바이)에는 건물마다 한글 간판이 걸려 있다. 음식점, 한국인 전용 노래방, 실내포장마차, 중고생 보.. 그 시절에(~2011)/上海通信(舊) 2006.04.18
동영상연습 1 - 재미있는 중국구경 젤 간단한 거 하나 만들어봤어요. 첫번째 동영상은 중국여행 기념품으로 많이들 사오는... 속에 붓그림 들어 있는 수정구슬의 제작과정이구요(혹시 들리는 말소리 중에 한국말소리가 들리시나요? 누구게~~요?) 두번째 동영상은 후루라고 불리는 악기(민간에서 흔히 불었다는) 연주입니다. 헌데, 아직도.. 그 시절에(~2011)/上海通信(舊) 2006.04.05
[스크랩] 만리장성 한국인 낙서 '국제 망신' 중국의 세계적인 관광명소인 만리장성에 한국인들의 낙서가 많아 망신을 사고 있다. 연간 전세계 수백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만리장성에서 일부 한국인들이 남기는 한글 낙서가 국가 위상을 깎아 내리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 ◆ 만리장성 한글 낙서 ‘눈살’ = 지난 3월 8일 오후, .. 그 시절에(~2011)/上海通信(舊) 2006.03.16